1996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1996년 7월 19일부터 8월 4일까지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아르헨티나는 금메달 없이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축구에서 은메달 1개, 요트에서 은메달 1개, 복싱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총 179명의 선수가 20개 종목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9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은 미국의 5개 도시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아르헨티나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9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1996년 하계 올림픽 야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야구는 8개국이 참가하여 풀리그 예선 후 상위 4팀이 토너먼트를 거쳐 쿠바가 금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예선 최하위를 기록했다.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 1900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 아르헨티나는 크리켓, 펜싱, 육상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육상과 폴로에서 동메달을 각각 1개씩 획득했으며, 펜싱에서는 에두아르도 카메트와 프란시스코 카메트가 남자 에페 개인전에 출전했다.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 1908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1908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190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단을 지칭하며,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아르헨티나는 1996년 하계 올림픽 복싱에 총 5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파블로 차콘은 페더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종목
32강
16강
8강
준결승
결승
상대
상대
상대
상대
상대
순위
오마르 나르바에스
플라이급
승
패
진출 실패
파블로 차콘
페더급
승
승
승
패
진출 실패
동메달
파브리시오 니에바
라이트급
승
패
진출 실패
기예르모 사푸토
웰터급
패
진출 실패
오스카르 고메스
라이트 미들급
패 (RSC)
진출 실패
'''참고:'''
RSC – 심판 경기 중단
3. 4. [[1996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사이클]]
시간
순위
상대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앙헬 콜라
남자 1000m 타임 트라이얼
해당 사항 없음
1:06.619
17
발테르 페레스
남자 개인 추발
4:30.715
7
4:22.826
8
진출 실패
가브리엘 쿠루체트, 곤살로 가르시아, 발테르 페레스, 에드가르도 시몬
남자 단체 추발
4:20.840
14
진출 실패
선수
종목
포인트
순위
후안 쿠루체트
남자 포인트 레이스
0
23
;참고:
DNF – 완주 실패
OVT – 추월
선수
종목
시간
순위
산드라 암브로시오 (Sandra Ambrosio)
여자 크로스컨트리
DNF
3. 4. 1. 남자
시간
순위
상대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앙헬 콜라
남자 1000m 타임 트라이얼
해당 사항 없음
1:06.619
17
발테르 페레스
남자 개인 추발
4:30.715
7
4:22.826
8
진출 실패
가브리엘 쿠루체트, 곤살로 가르시아, 발테르 페레스, 에드가르도 시몬
남자 단체 추발
4:20.840
14
진출 실패
선수
종목
포인트
순위
후안 쿠루체트
남자 포인트 레이스
0
23
;참고:
DNF – 완주 실패
OVT – 추월
3. 4. 2. 여자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3. 5. [[1996년 하계 올림픽 수영|수영]]
알리시아 바랑코스, 마리아 베르텔로티, 마리아 델 필라르 페레이라
자유형 4 × 200m 계영
8:46.36
21
진출 실패
발레리아 알바레스, 마리아 베르텔로티, 마리아 델 필라르 페레이라, 마리아 산타 크루스
혼계영 4 × 100m
4:27.99
23
진출 실패
3. 5. 1. 남자
선수
종목
예선
결선
시간
순위
시간
순위
아구스틴 피오릴리
자유형 400m
4:02.53
28
진출 실패
자유형 1500m
15:51.85
26
진출 실패
호세 메올란스
자유형 50m
23.21
23
진출 실패
자유형 100m
52.02
45
진출 실패
접영 100m
56.02
38
진출 실패
3. 5. 2. 여자
알리시아 바랑코스, 마리아 베르텔로티, 마리아 델 필라르 페레이라
자유형 4 × 200m 계영
8:46.36
21
진출 실패
발레리아 알바레스, 마리아 베르텔로티, 마리아 델 필라르 페레이라, 마리아 산타 크루스
혼계영 4 × 100m
4:27.99
23
진출 실패
3. 6. [[1996년 하계 올림픽 승마|승마]]
훌리오 알바라신은 디나스티아 팜페로, 페데리코 카스타잉은 랜드로드, 오스카 푸엔테스는 헨리 J. 스피드, 리카르도 키에르케고르는 르노메를 타고 1996년 하계 올림픽 승마 – 개인 장애물에 출전했다. 예선에서 훌리오 알바라신은 벌점 12.00점으로 공동 59위, 페데리코 카스타잉은 벌점 28.00점으로 79위, 오스카 푸엔테스는 벌점 12.75점으로 공동 67위, 리카르도 키에르케고르는 벌점 4.50점으로 35위를 기록하여 모두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7월 20일, 인도와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P. 롬비가 필드 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이집트의 아민 아이만, 네덜란드의 피터 폰 레스였다.
7월 22일, 미국과의 경기에서 5-2로 승리했다. P. 롬비가 필드 골 2골, 페라라가 페널티 코너 1골과 필드 골 1골, 카푸로가 필드 골 1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러시아의 유리 플라토노프, 호주의 돈 프라이어였다.
7월 24일,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P. 롬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심판은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이덴부르그와 피터 폰 레스였다.
7월 26일, 독일과의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했다. 심판은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이덴부르그, 호주의 돈 프라이어였다.
7월 28일,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2-6으로 패배했다. 페레즈가 필드 골, J. 롬비가 페널티 스트로크로 득점했다. 심판은 이집트의 아민 아이만, 영국의 크레이그 매든이었다.
9~12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는 7월 31일 말레이시아와 4-4 무승부 후, 페널티 슛아웃에서 3-0으로 승리했다. 레테기가 필드 골 1골과 페널티 스트로크 1골, 페라라와 J. 롬비가 각각 필드 골 1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일본의 키요시 사나, 벨기에의 패트릭 반 베네덴이었다.
9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는 8월 1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2로 이겼다. 페라라와 카푸로가 필드 골, J. 롬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심판은 프랑스의 기욤 랑글, 영국의 크레이그 매든이었다.
7월 20일, 인도와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P. 롬비가 필드 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이집트의 아민 아이만, 네덜란드의 피터 폰 레스였다.
7월 22일, 미국과의 경기에서 5-2로 승리했다. P. 롬비가 필드 골 2골, 페라라가 페널티 코너 1골과 필드 골 1골, 카푸로가 필드 골 1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러시아의 유리 플라토노프, 호주의 돈 프라이어였다.
7월 24일,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P. 롬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심판은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이덴부르그와 피터 폰 레스였다.
7월 26일, 독일과의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했다. 심판은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이덴부르그, 호주의 돈 프라이어였다.
7월 28일,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2-6으로 패배했다. 페레즈가 필드 골, J. 롬비가 페널티 스트로크로 득점했다. 심판은 이집트의 아민 아이만, 영국의 크레이그 매든이었다.
9~12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는 7월 31일 말레이시아와 4-4 무승부 후, 페널티 슛아웃에서 3-0으로 승리했다. 레테기가 필드 골 1골과 페널티 스트로크 1골, 페라라와 J. 롬비가 각각 필드 골 1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일본의 키요시 사나, 벨기에의 패트릭 반 베네덴이었다.
9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는 8월 1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2로 이겼다. 페라라와 카푸로가 필드 골, J. 롬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심판은 프랑스의 기욤 랑글, 영국의 크레이그 매든이었다.
3. 17. 2. 여자
감독: 로돌포 멘도사
No.
선수
GP
G
S
FG
PC
PS
10px
10px
10px
1
(GK)
4
0
0
2
7
2
0
2
3
7
0
1
4
7
0
0
5
7
0
1
6
7
0
0
7
7
0
0
8
7
0
2
9
6
0
7
10
7
2
7
2
11
(C)
7
2
4
1
1
12
7
1
4
1
13
3
0
0
14
5
0
1
15
2
0
1
16
6
0
0
팀 합계
7
7
28
2
3
1
;예선 라운드
width=10px bgcolor="#ccffcc"|
금메달 경쟁
width=10px bgcolor="#ffdab9"|
동메달 경쟁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7
6
1
0
24
4
13
7
4
2
1
18
9
10
7
3
2
2
12
11
8
7
3
2
2
15
15
8
7
2
2
3
8
11
6
7
2
1
4
10
11
5
7
2
1
4
7
21
5
7
0
1
6
5
17
1
7월 20일, 아르헨티나는 독일에 0-2로 패배했다.
7월 22일, 아르헨티나는 호주에 1-7로 대패했다.
7월 23일, 아르헨티나는 스페인을 1-0으로 꺾고 첫 승을 올렸다.
7월 25일, 아르헨티나는 미국을 2-1로 꺾고 2연승을 달렸다.
7월 27일, 아르헨티나는 네덜란드에 1-4로 패배했다.
7월 28일, 아르헨티나는 대한민국과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30일, 아르헨티나는 영국에 0-5로 완패했다.
3. 18. [[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배구]]
{{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 세부 종목인 남자 비치발리볼 경기에 마르틴 콘데와 에스테반 마르티네스가 아르헨티나 대표로 출전했다. 이들은 2라운드에서 쿠바의 프란시스코 알바레스/Francisco Álvarezes – 후안 로셀/Juan Rosselles조에 11-15로 패하여 8강 진출에 실패, 최종 13위를 기록했다.
;선수 명단
코치는 알베르토 아르모아이다.
이름
생년월일
마르코스 밀린코비치
1971년 12월 22일
호르헤 엘구에타
1969년 11월 21일
세바스티안 자비프
1973년 1월 24일
레안드로 말리
1976년 1월 29일
하비에르 웨버
1971년 1월 6일
페르난도 보레로
1968년 12월 15일
알레한드로 로마노()
1974년 5월 4일
세바스티안 피르포
1976년 10월 27일
파블로 페레이라()
1974년 1월 18일
기예르모 마르티네스()
1969년 1월 18일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1971년 12월 15일
;조별 예선
A조에 속했던 아르헨티나 남자 배구 대표팀은 브라질, 불가리아, 폴란드를 상대로 승리하였으나, 미국과 쿠바에게 패배하며 3승 2패를 기록했다.
;8강
8강에서 이탈리아를 만나 1-3으로 패배했다.
;5~8위 결정전
5~8위 결정전에서 브라질에게 1-3으로 패배했다.
;8위 결정전
8위 결정전에서 불가리아에게 2-3으로 패배하며 최종 8위를 기록했다.
3. 18. 1. 남자
;선수 명단
코치는 알베르토 아르모아이다.
이름
생년월일
1971년 12월 22일
1969년 11월 21일
1973년 1월 24일
1976년 1월 29일
1971년 1월 6일
1968년 12월 15일
1974년 5월 4일
1976년 10월 27일
1974년 1월 18일
1969년 1월 18일
1971년 12월 15일
;조별 예선
A조에 속했던 아르헨티나 남자 배구 대표팀은 브라질, 불가리아, 폴란드를 상대로 승리하였으나, 미국과 쿠바에게 패배하며 3승 2패를 기록했다.
;8강
8강에서 이탈리아를 만나 1-3으로 패배했다.
;5~8위 결정전
5~8위 결정전에서 브라질에게 1-3으로 패배했다.
;8위 결정전
8위 결정전에서 불가리아에게 2-3으로 패배하며 최종 8위를 기록했다.
3. 18. 2. 비치발리볼
wikitext
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 세부 종목인 남자 비치발리볼 경기에 마르틴 콘데와 에스테반 마르티네스가 아르헨티나 대표로 출전했다. 이들은 2라운드에서 쿠바의 조에 11-15로 패하여 8강 진출에 실패, 최종 13위를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