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6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1996년 7월 19일부터 8월 4일까지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아르헨티나는 금메달 없이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축구에서 은메달 1개, 요트에서 은메달 1개, 복싱에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총 179명의 선수가 20개 종목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은 미국의 5개 도시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아르헨티나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 199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1996년 하계 올림픽 야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야구는 8개국이 참가하여 풀리그 예선 후 상위 4팀이 토너먼트를 거쳐 쿠바가 금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예선 최하위를 기록했다.
  •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 1900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 아르헨티나는 크리켓, 펜싱, 육상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육상과 폴로에서 동메달을 각각 1개씩 획득했으며, 펜싱에서는 에두아르도 카메트와 프란시스코 카메트가 남자 에페 개인전에 출전했다.
  •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 1908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1908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190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단을 지칭하며,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1996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기본 정보
NOCARG
NOC 명칭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www.coarg.org.ar 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올림픽 참가하계 올림픽
개최 연도1996
개최 도시애틀랜타
참가 선수179명 (남자: 132명, 여자: 47명)
종목20개
기수카롤리나 마리아니
순위54위
금메달0개
은메달2개
동메달1개
첫 출전1900년
하계 올림픽 출전 횟수자동 계산
동계 올림픽 출전 횟수해당 없음
관련 정보해당 없음

2. 메달리스트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은마티아스 알메이다, 로베르토 아얄라, 크리스티안 바세다스, 카를로스 보시오, 파블로 카바예로, 호세 차모, 에르난 크레스포, 마르셀로 델가도, 마르셀로 가야르도, 클라우디오 로페스, 구스타보 로페스, 우고 모랄레스, 아리엘 오르테가, 파블로 파스, 마우리시오 피네다, 로베르토 센시니, 디에고 시메오네, 하비에르 사네티축구남자 토너먼트8월 3일
 은카를로스 에스피놀라 (세일러)요트남자 미스트랄7월 29일
파블로 차콘복싱남자 페더급8월 2일


2. 1. 은메달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축구팀은 축구 남자 토너먼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마티아스 알메이다, 로베르토 아얄라, 크리스티안 바세다스, 카를로스 보시오, 파블로 카바예로, 호세 차모, 에르난 크레스포, 마르셀로 델가도, 마르셀로 가야르도, 클라우디오 로페스, 구스타보 로페스, 우고 모랄레스, 아리엘 오르테가, 파블로 파스, 마우리시오 피네다, 로베르토 센시니, 디에고 시메오네, 하비에르 사네티가 선수 명단에 포함되었다.

카를로스 에스피놀라 (세일러)는 요트 남자 미스트랄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 2. 동메달

메달선수명종목세부 종목날짜
파블로 차콘복싱남자 페더급8월 2일


3. 종목별 성적

다음은 올림픽 참가 선수 수 목록이다.[2]

종목남자여자합계
육상448
농구12012
비치 발리볼202
복싱55
카누404
사이클9110
승마505
펜싱134
필드하키161632
축구18018
체조112
유도718
조정17522
요트6410
사격336
수영257
테니스448
배구12012
역도33
레슬링11
합계13247179


3. 1. [[1996년 하계 올림픽 농구|농구]]

1996년 하계 올림픽 농구 남자 농구 종목에서 아르헨티나는 9위를 기록했다.

; 선수 명단

번호이름포지션생년월일신장당시 소속팀
4마르셀로 니콜라PF1971년 5월 12일2.07m타우 세라미카
5다니엘 파라벨로PG1973년 10월 18일1.93m안디노
6루이스 비야르PF1967년 3월 15일2.03m보카 주니어스
7에스테반 데 라 푸엔테SF1968년 11월 18일1.97m킬메스 (MdP)
8에르네스토 미첼SF1970년 10월 12일2.00m김나시아 (CR)
9마르셀로 밀라네시오PG1965년 2월 11일1.88m아테나스
10후안 에스필SG1968년 1월 5일1.94m아테나스
11디에고 오세야PF1969년 9월 14일1.94m아테나스
12파브리시오 오베르토C1975년 3월 21일2.08m아테나스
13호르헤 라카SF1971년 9월 4일1.98m올림피아 (VT)
14에스테반 페레스SF1969년 3월 26일2.00m페냐롤 (MdP)
15루벤 볼코비스키C1973년 9월 30일2.08m킬메스 (MdP)



; 감독


  • 기예르모 베키오


; 코치

  • 루벤 마그나노
  • 페르난도 두로


; 예선

아르헨티나는 A조에 속해 예선 경기를 치렀다.

  • 7월 20일: 미국/United States영어 96 – 68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 7월 22일: 리투아니아/Lithuania영어 65 – 61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 7월 24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75 – 71 앙골라/Angola영어
  • 7월 26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77 – 87 크로아티아/Croatia영어
  • 7월 28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66 – 62 중화인민공화국/China영어


; 9~12위 순위 결정전

  • 7월 30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97 – 79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영어


; 9위 결정전

  • 8월 2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87 – 75 중화인민공화국/China영어

3. 1. 1. 남자

남자 농구 종목에서 아르헨티나는 9위를 기록했다.

; 선수 명단

번호이름포지션생년월일신장당시 소속팀
4마르셀로 니콜라PF1971년 5월 12일2.07m타우 세라미카
5다니엘 파라벨로PG1973년 10월 18일1.93m안디노
6루이스 비야르PF1967년 3월 15일2.03m보카 주니어스
7에스테반 데 라 푸엔테SF1968년 11월 18일1.97m킬메스 (MdP)
8에르네스토 미첼SF1970년 10월 12일2.00m김나시아 (CR)
9마르셀로 밀라네시오PG1965년 2월 11일1.88m아테나스
10후안 에스필SG1968년 1월 5일1.94m아테나스
11디에고 오세야PF1969년 9월 14일1.94m아테나스
12파브리시오 오베르토C1975년 3월 21일2.08m아테나스
13호르헤 라카SF1971년 9월 4일1.98m올림피아 (VT)
14에스테반 페레스SF1969년 3월 26일2.00m페냐롤 (MdP)
15루벤 볼코비스키C1973년 9월 30일2.08m킬메스 (MdP)



; 감독


  • 기예르모 베키오


; 코치

  • 루벤 마그나노
  • 페르난도 두로


; 예선

아르헨티나는 A조에 속해 예선 경기를 치렀다.

  • 7월 20일: 미국/'''United States'''영어 96 – 68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 7월 22일: 리투아니아/'''Lithuania'''영어 65 – 61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 7월 24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75 – 71 앙골라/'''Angola'''영어
  • 7월 26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77 – 87 크로아티아/'''Croatia'''영어
  • 7월 28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66 – 62 중화인민공화국/'''China'''영어


; 9~12위 순위 결정전

  • 7월 30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97 – 79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영어


; 9위 결정전

  • 8월 2일: 아르헨티나/'''Argentina'''영어 87 – 75 중화인민공화국/'''China'''영어

3. 2. [[1996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레슬링]]

선수종목16강8강준결승결승
파울로 이비레남자 자유형 68kg황상호 (대한민국)
0 - 7
진출 실패진출 실패진출 실패


3. 2. 1. 남자

wikitext

선수종목16강8강준결승결승
파울로 이비레남자 자유형 68kg황상호 (KOR)
0 - 7
진출 실패진출 실패진출 실패


3. 3. [[1996년 하계 올림픽 복싱|복싱]]

아르헨티나는 1996년 하계 올림픽 복싱에 총 5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파블로 차콘은 페더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종목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상대상대상대상대상대순위
오마르 나르바에스플라이급

진출 실패
파블로 차콘페더급



진출 실패 동메달
파브리시오 니에바라이트급

진출 실패
기예르모 사푸토웰터급
진출 실패
오스카르 고메스라이트 미들급
(RSC)
진출 실패



'''참고:'''


  • RSC – 심판 경기 중단

3. 4. [[1996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사이클]]

시간순위상대
시간순위시간순위앙헬 콜라남자 1000m 타임 트라이얼해당 사항 없음1:06.61917발테르 페레스남자 개인 추발4:30.71574:22.8268진출 실패가브리엘 쿠루체트,
곤살로 가르시아,
발테르 페레스,
에드가르도 시몬남자 단체 추발4:20.84014진출 실패



선수종목포인트순위
후안 쿠루체트남자 포인트 레이스023



;참고:



선수종목시간순위
산드라 암브로시오 (Sandra Ambrosio)여자 크로스컨트리DNF


3. 4. 1. 남자

시간순위상대
시간순위시간순위앙헬 콜라남자 1000m 타임 트라이얼해당 사항 없음1:06.61917발테르 페레스남자 개인 추발4:30.71574:22.8268진출 실패가브리엘 쿠루체트,
곤살로 가르시아,
발테르 페레스,
에드가르도 시몬남자 단체 추발4:20.84014진출 실패



선수종목포인트순위
후안 쿠루체트남자 포인트 레이스023



;참고:

3. 4. 2. 여자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3. 5. [[1996년 하계 올림픽 수영|수영]]

알리시아 바랑코스,
마리아 베르텔로티,
마리아 델 필라르 페레이라자유형 4 × 200m 계영8:46.3621진출 실패발레리아 알바레스,
마리아 베르텔로티,
마리아 델 필라르 페레이라,
마리아 산타 크루스혼계영 4 × 100m4:27.9923진출 실패


3. 5. 1. 남자

선수종목예선결선
시간순위시간순위
아구스틴 피오릴리자유형 400m4:02.5328진출 실패
자유형 1500m15:51.8526진출 실패
호세 메올란스자유형 50m23.2123진출 실패
자유형 100m52.0245진출 실패
접영 100m56.0238진출 실패


3. 5. 2. 여자

알리시아 바랑코스,
마리아 베르텔로티,
마리아 델 필라르 페레이라자유형 4 × 200m 계영8:46.3621진출 실패발레리아 알바레스,
마리아 베르텔로티,
마리아 델 필라르 페레이라,
마리아 산타 크루스혼계영 4 × 100m4:27.9923진출 실패


3. 6. [[1996년 하계 올림픽 승마|승마]]

훌리오 알바라신은 디나스티아 팜페로, 페데리코 카스타잉은 랜드로드, 오스카 푸엔테스는 헨리 J. 스피드, 리카르도 키에르케고르는 르노메를 타고 1996년 하계 올림픽 승마 – 개인 장애물에 출전했다. 예선에서 훌리오 알바라신은 벌점 12.00점으로 공동 59위, 페데리코 카스타잉은 벌점 28.00점으로 79위, 오스카 푸엔테스는 벌점 12.75점으로 공동 67위, 리카르도 키에르케고르는 벌점 4.50점으로 35위를 기록하여 모두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선수종목예선 벌점예선 순위결선 진출 여부
훌리오 알바라신디나스티아 팜페로1996년 하계 올림픽 승마 – 개인 장애물12.00=59진출 실패
페데리코 카스타잉랜드로드1996년 하계 올림픽 승마 – 개인 장애물28.0079진출 실패
오스카 푸엔테스헨리 J. 스피드1996년 하계 올림픽 승마 – 개인 장애물12.75=67진출 실패
리카르도 키에르케고르르노메1996년 하계 올림픽 승마 – 개인 장애물4.5035진출 실패


3. 7. [[1996년 하계 올림픽 역도|역도]]



'''남자'''

선수세부 종목인상용상총합순위
구스타보 마야우스카스남자 –64kg125.0160.0285.020
마르셀로 간돌포남자 –70kg120.0140.0160.024
가브리엘 렘메남자 –70kg0.00.00.0DNQ



;핵심

3. 7. 1. 남자

wikitable

선수세부 종목인상용상총합순위
구스타보 마야우스카스남자 –64kg125.0160.0285.020
마르셀로 간돌포남자 –70kg120.0140.0160.024
가브리엘 렘메남자 –70kg0.00.00.0DNQ


3. 8. [[1996년 하계 올림픽 요트|요트]]

PMS22해당 없음192산티아고 랑게레이저41514231119(57)
DSQ2194799마르틴 빌로흐,
마르틴 로드리게스47012(23)1(22)2034121812737기예르모 카레가리,
마우로 마이올라스타1717(23)(22)192218171917해당 없음14622



선수종목경기점수순위
1234567891011
세레나 아마토유럽8(17)88(16)156511614818
모니카 페치노미스트랄17181018(25)16(20)1514해당 없음10817
파울라 레이노소,
소피아 우산디사가
470(23)
PMS
1616(22)22201720221720.50170.5022



3. 8. 1. 남자

PMS22해당 없음19산티아고 랑게레이저41514231119(57)
DSQ2194799마르틴 빌로흐,
마르틴 로드리게스47012(23)1(22)2034121812737기예르모 카레가리,
마우로 마이올라스타1717(23)(22)192218171917해당 없음14622



3. 8. 2. 여자

소피아 우산디사가470(23)
PMS1616(22)22201720221720.50170.5022


3. 9. [[1996년 하계 올림픽 유도|유도]]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호르헤 렌시나-60kg후세이노프 (AZE)
진출 실패프란시스코 모랄레스-65kg레바지쉬빌리 (GEO)진출 실패세바스티안 알콰티-71kg볼드바타르 (MGL)
진출 실패페드로 (USA)
진출 실패다리오 가르시아-78kg벨가이드 (MAR)
클라스 (NED)
부라스 (FRA)
진출 실패부전승사브치시킨 (RUS)
우즈나제 (TUR)
파블로 엘리시-86kg카아바 (MAR)
데스파이네 (CUB)
진출 실패알레한드로 벤더-95kg미겔 (BRA)
진출 실패샤키모프 (KAZ)
펠리시테 (MRI)
코바치 (HUN)
진출 실패올란도 바치노+95kg라키모프 (TJK)
진출 실패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캐롤리나 마리아니-52kg부전승고셀린 (CAN)
현숙희 (KOR)
진출 실패부전승주니 (ITA)
스가와라 (JPN)
진출 실패


3. 9. 1. 남자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호르헤 렌시나-60kg후세이노프 (AZE)
진출 실패프란시스코 모랄레스-65kg레바지쉬빌리 (GEO)진출 실패세바스티안 알콰티-71kg볼드바타르 (MGL)
진출 실패페드로 (USA)
진출 실패다리오 가르시아-78kg벨가이드 (MAR)
클라스 (NED)
부라스 (FRA)
진출 실패부전승사브치시킨 (RUS)
우즈나제 (TUR)
파블로 엘리시-86kg카아바 (MAR)
데스파이네 (CUB)
진출 실패알레한드로 벤더-95kg미겔 (BRA)
진출 실패샤키모프 (KAZ)
펠리시테 (MRI)
코바치 (HUN)
진출 실패올란도 바치노+95kg라키모프 (TJK)
진출 실패


3. 9. 2. 여자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캐롤리나 마리아니-52kg부전승

진출 실패부전승

진출 실패


3. 10. [[1996년 하계 올림픽 육상|육상]]



;남자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안드레스 차라디아해머던지기65.2617해당 없음진출 실패
카를로스 가츠100m10.573진출 실패
200m20.824 Q20.847진출 실패
마르셀로 푸글리에세원반던지기56.7229해당 없음진출 실패
안토니오 실리오마라톤해당 없음기권



;여자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안드레아 아빌라멀리뛰기6.0031해당 없음진출 실패
그리셀다 곤살레스마라톤해당 없음2:35:1219
릴리아나 마르티넬리원반던지기55.6835해당 없음진출 실패
마르타 오렐라나800m2:04.99해당 없음진출 실패


3. 10. 1. 남자

wikitext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안드레스 차라디아해머던지기65.2617해당 없음진출 실패
카를로스 가츠100m10.573진출 실패
200m20.824 Q20.847진출 실패
마르셀로 푸글리에세원반던지기56.7229해당 없음진출 실패
안토니오 실리오마라톤해당 없음기권


3. 10. 2. 여자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안드레아 아빌라멀리뛰기6.0031해당 없음진출 실패
그리셀다 곤살레스마라톤해당 없음2:35:1219
릴리아나 마르티넬리원반던지기55.6835해당 없음진출 실패
마르타 오렐라나800m2:04.99해당 없음진출 실패


3. 11. [[1996년 하계 올림픽 조정|조정]]

아구스틴 로차경량급 더블 스컬7:07.5046:28.083진출 실패발테르 발루넥,
카를로스 팔라베치노무타페어6:56.0337:10.573 Q7:14.596진출 실패산티아고 페르난데스,
루벤 크눌스트,
카를로스 파게스,
기예르모 파아브쿼드러플 스컬6:16.1645:52.894진출 실패마리아노 코발치크,
다니엘 스쿠리,
오라시오 시실리아,
마리아노 소사무타포어6:33.2956:37.855진출 실패호르헤 엔리케스,
에르난 레기사몬,
가브리엘 스코르티기니,
페데리코 케린경량급 무타포어6:43.5866:09.865진출 실패



;여자

선수종목예선패자부활전준결승결승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아나 우르바노싱글 스컬8:42.5959:04.665진출 실패
돌로레스 아마야,
마리아 가리소아인
더블 스컬7:57.0548:09.244진출 실패
로레나 코렌기아,
훌리에타 라미레스
무타페어8:12.5858:35.534진출 실패


3. 11. 1. 남자

아구스틴 로차경량급 더블 스컬7:07.5046:28.083진출 실패발테르 발루넥,
카를로스 팔라베치노무타페어6:56.0337:10.573 Q7:14.596진출 실패산티아고 페르난데스,
루벤 크눌스트,
카를로스 파게스,
기예르모 파아브쿼드러플 스컬6:16.1645:52.894진출 실패마리아노 코발치크,
다니엘 스쿠리,
오라시오 시실리아,
마리아노 소사무타포어6:33.2956:37.855진출 실패호르헤 엔리케스,
에르난 레기사몬,
가브리엘 스코르티기니,
페데리코 케린경량급 무타포어6:43.5866:09.865진출 실패


3. 11. 2. 여자

마리아 가리소아인더블 스컬7:57.0548:09.244진출 실패로레나 코렌기아,
훌리에타 라미레스무타페어8:12.5858:35.534진출 실패


3. 12. [[1996년 하계 올림픽 체조|체조]]

선수종목기구예선결선
마루안마도마평행봉철봉총점순위총점순위
마르셀로 팔라시오남자 개인 종합17.45016.87517.32517.87517.10017.400104.02570진출 실패
마루17.450해당 없음17.45089
안마해당 없음16.875해당 없음16.87586
해당 없음17.325해당 없음17.32590
도마해당 없음17.785해당 없음17.78594
평행봉해당 없음17.100해당 없음17.10090
철봉해당 없음17.40017.40086



선수종목기구예선결선
마루안마도마평행봉철봉이단 평행봉평균대총점순위총점순위
아나 데스테파노여자 개인 종합18.537해당 없음18.724해당 없음18.73716.77472.77265진출 실패
마루18.537해당 없음18.53771
도마해당 없음18.724해당 없음18.72461
이단 평행봉해당 없음18.737해당 없음18.73757
평균대해당 없음16.77416.77486


3. 12. 1. 남자

wikitable

선수종목기구예선결선
마루안마도마평행봉철봉총점순위총점순위
마르셀로 팔라시오남자 개인 종합17.45016.87517.32517.87517.10017.400104.02570진출 실패
마루17.450해당 없음17.45089
안마해당 없음16.875해당 없음16.87586
해당 없음17.325해당 없음17.32590
도마해당 없음17.785해당 없음17.78594
평행봉해당 없음17.100해당 없음17.10090
철봉해당 없음17.40017.40086


3. 12. 2. 여자

선수종목기구예선결선
마루안마도마평행봉철봉이단 평행봉평균대총점순위총점순위
아나 데스테파노여자 개인 종합18.537해당 없음18.724해당 없음18.73716.77472.77265진출 실패
마루18.537해당 없음18.53771
도마해당 없음18.724해당 없음18.72461
이단 평행봉해당 없음18.737해당 없음18.73757
평균대해당 없음16.77416.77486


3. 13.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축구]]



; 선수 명단

''나이 제한 초과 선수는 *로 표시 (최대 3명).''

''괄호 안의 출전 횟수는 교체 출전을 의미함.''

#이름소속 클럽생년월일출전득점경고경고 누적 퇴장즉시 퇴장
골키퍼
1카를로스 보시오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1973년 12월 1일생10100
12파블로 카바예로 벨레스 사르스필드1974년 4월 13일생50000
수비수
2로베르토 아얄라 발렌시아1973년 4월 14일생60000
3호세 차모* 라치오1969년 5월 17일생50200
4하비에르 사네티 인테르나치오날레1973년 8월 10일생60000
6로베르토 센시니* 파르마1966년 10월 12일생50100
미드필더
5마티아스 알메이다 리버 플레이트1973년 12월 21일생60100
8디에고 시메오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1970년 4월 28일생3 (3)1100
11우고 모랄레스 라누스1974년 7월 30일생40100
13마우리시오 피네다 보카 주니어스1975년 7월 13일생10000
14파블로 파스 반필드1973년 1월 27일생1 (1)0100
15크리스티안 바세다스 벨레스 사르스필드1973년 2월 16일생3 (1)0100
15마르셀로 가야르도 리버 플레이트1976년 1월 18일생(4)0000
공격수
7클라우디오 로페스 발렌시아1974년 7월 17일생5 (1)2000
9에르난 크레스포 파르마1975년 7월 5일생66100
10아리엘 오르테가 발렌시아1974년 3월 4일생62100
16구스타보 로페스 레알 사라고사1973년 4월 13일생2 (3)1000
17마르셀로 델가도 라싱 클럽1973년 3월 24일생1 (1)0100
감독
다니엘 파사레야1953년 5월 25일생colspan=5|



; 경기 결과

'''예선'''



; 8강

; 준결승

; 금메달 결정전

; 은메달

3. 13. 1. 남자

즉시 퇴장
골키퍼1카를로스 보시오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1973년 12월 1일생1010012파블로 카바예로 벨레스 사르스필드1974년 4월 13일생50000수비수2로베르토 아얄라 발렌시아1973년 4월 14일생600003호세 차모* 라치오1969년 5월 17일생502004하비에르 사네티 인테르나치오날레1973년 8월 10일생600006로베르토 센시니* 파르마1966년 10월 12일생50100미드필더5마티아스 알메이다 리버 플레이트1973년 12월 21일생601008디에고 시메오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1970년 4월 28일생3 (3)110011우고 모랄레스 라누스1974년 7월 30일생4010013마우리시오 피네다 보카 주니어스1975년 7월 13일생1000014파블로 파스 반필드1973년 1월 27일생1 (1)010015크리스티안 바세다스 벨레스 사르스필드1973년 2월 16일생3 (1)010015마르셀로 가야르도 리버 플레이트1976년 1월 18일생(4)0000공격수7클라우디오 로페스 발렌시아1974년 7월 17일생5 (1)20009에르난 크레스포 파르마1975년 7월 5일생6610010아리엘 오르테가 발렌시아1974년 3월 4일생6210016구스타보 로페스 레알 사라고사1973년 4월 13일생2 (3)100017마르셀로 델가도 라싱 클럽1973년 3월 24일생1 (1)0100감독 다니엘 파사레야1953년 5월 25일생colspan=5|



;경기 결과

'''예선'''

{{축구 경기 정보

|bg=#eee

|날짜 = 1996년 7월 20일

|시간 = 15:00

|팀1 =

|점수 = 3–1

|보고서 = [https://web.archive.org/web/20120417060103/http://www.fifa.com/tournaments/archive/tournament%3D512/edition%3D197142/matches/match%3D32218/report.html (보고서)]

|팀2 =

|득점1 = G. 로페스
크레스포
시메오네

|득점2 = 레이나

|경기장 = 레지온 필드, 버밍햄

|관중 = 83,183

|주심 = 뤼시앙 부샤르도 (나이지리아) }}


{{축구 경기 정보

|날짜 = 1996년 7월 22일

|시간 = 19:30

|팀1 =

|점수 = 1–1

|보고서 = [https://web.archive.org/web/20120222170910/http://www.fifa.com/tournaments/archive/tournament%3D512/edition%3D197142/matches/match%3D32229/report.html (보고서)]

|팀2 =

|득점1 = 오르테가

|득점2 = 고메스

|경기장 = RFK 메모리얼 스타디움, 워싱턴 D.C.

|관중 = 25,811

|주심 = 오메르 알 메하나 (사우디 아라비아) }}
{{축구 경기 정보

|bg=#eee

|날짜 = 1996년 7월 24일

|시간 = 19:30

|팀1 =

|점수 = 1–1

|보고서 = [https://web.archive.org/web/20071124001352/http://www.fifa.com/tournaments/archive/tournament=512/edition=197142/matches/match=32234/report.html (보고서)]

|팀2 =

|득점1 = 오르테가

|득점2 = 마카체르

|경기장 = 레지온 필드, 버밍햄

|관중 = 16,826

|주심 = 피롬 운-프라세르 (태국) }}

;8강

{{축구 경기 정보

|bg=

|날짜 = 1996년 7월 27일

|시간 = 19:30

|팀1 =

|점수 = 4–0

|보고서 = [https://web.archive.org/web/20120705075303/http://www.fifa.com/tournaments/archive/tournament%3D512/edition%3D8229/matches/match%3D37188/report.html (보고서)]

|팀2 =

|득점1 = 크레스포
아란사발 (자책골)
C. 로페스

|득점2 =

|경기장 = 레지온 필드, 버밍햄

|관중 = 43,507

|주심 = 자말 알 간두르 (이집트) }}

;준결승

{{축구 경기 정보

|bg=

|날짜 = 1996년 7월 30일

|시간 = 18:00

|팀1 =

|점수 = 0–2

|보고서 = [https://web.archive.org/web/20120222170915/http://www.fifa.com/tournaments/archive/tournament%3D512/edition%3D197142/matches/match%3D32246/report.html (보고서)]

|팀2 =

|득점1 =

|득점2 = 크레스포

|경기장 = 샌퍼드 스타디움, 애선스

|관중 = 78,212

|주심 = 에스판디아르 바하르마스트 (미국) }}

;금메달 결정전

{{축구 경기 정보

|bg=#ffffd0

|날짜 = 1996년 8월 3일

|시간 = 15:45

|팀1 =

|점수 = 3–2

|보고서 = [https://web.archive.org/web/20071124001452/http://www.fifa.com/tournaments/archive/tournament=512/edition=197142/matches/match=32249/report.html (보고서)]

|팀2 =

|득점1 = 바바야로
아모카치
아무네케

|득점2 = C. 로페스
크레스포

|경기장 = 샌퍼드 스타디움, 애선스

|관중 = 86,117

|주심 =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이탈리아) }}

; 은메달

3. 14. [[1996년 하계 올림픽 카누|카누]]

세르히오 망긴남자 K-2 500m1:38.59461:39.5354 Q1:37.1779진출 실패하비에르 코레아,
아벨라르도 슈트룸남자 K-2 1000m3:49.86453:34.2441 Q3:28.1289진출 실패


3. 14. 1. 남자

세르히오 망긴남자 K-2 500m1:38.59461:39.5354 Q1:37.1779진출 실패하비에르 코레아,
아벨라르도 슈트룸남자 K-2 1000m3:49.86453:34.2441 Q3:28.1289진출 실패


3. 15. [[1996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테니스]]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순위가스톤 에틀리스단식페레이라 (RSA)
4–6, 3–6진출 실패=33하비에르 프라나단식루세드스키 (GBR)
6–4, 5–7, 3–6진출 실패=33에르난 구미단식페레이라 (VEN)
4–6, 0–6진출 실패=33하비에르 프라나,
루이스 로보복식N/A부르게라 / 카르보넬 (ESP)
3–6, 6–7(6–8)진출 실패=17



;여자

선수종목64강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순위
이네스 고로차테기단식이징첸 (CHN)
6–2, 1–6, 6–1
피어스 (FRA)
6–4, 1–6, 7–5
페르난데스 (USA)
0–6, 3–6
진출 실패=9
플로렌시아 라바트단식마카로바 (RUS)
6–2, 7–5
말리바 (BUL)
6–7(7–9), 1–6
진출 실패=17
가브리엘라 사바티니단식토지아 (FRA)
7–5, 6–2
가발돈 (MEX)
6–4, 6–0
셀레스 (USA)
3–6, 3–6
진출 실패=9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파트리시아 타라비니
복식N/A아펠망스 / 쿠르투아 (BEL)
7–5, 3–6, 4–6
진출 실패=17


3. 15. 1. 남자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순위가스톤 에틀리스단식페레이라 (RSA)
4–6, 3–6진출 실패=33하비에르 프라나단식루세드스키 (GBR)
6–4, 5–7, 3–6진출 실패=33에르난 구미단식페레이라 (VEN)
4–6, 0–6진출 실패=33하비에르 프라나,
루이스 로보복식N/A부르게라 / 카르보넬 (ESP)
3–6, 6–7(6–8)진출 실패=17


3. 15. 2. 여자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상대
점수순위이네스 고로차테기단식
6–2, 1–6, 6–1
6–4, 1–6, 7–5
0–6, 3–6진출 실패=9플로렌시아 라바트단식
6–2, 7–5
6–7(7–9), 1–6진출 실패=17가브리엘라 사바티니단식
7–5, 6–2
6–4, 6–0
3–6, 3–6진출 실패=9가브리엘라 사바티니,
파트리시아 타라비니복식N/A

7–5, 3–6, 4–6진출 실패=17


3. 16. [[1996년 하계 올림픽 펜싱|펜싱]]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레안드로 마르케티남자 개인 플뢰레팔케토 (오스트리아)
15–13비엔안트 (독일)
1–15진출 실패



선수종목64강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알레한드라 카르보네여자 개인 플뢰레왕후이펑(중화인민공화국)
4–15
진출 실패
야니나 이안누치여자 개인 플뢰레릴라흐 파리스키(이스라엘)
7–15
진출 실패
돌로레스 팜핀여자 개인 플뢰레바르바라 볼니카-셰브치크(폴란드)
8–15
진출 실패
알레한드라 카르보네,
야니나 이안누치,
돌로레스 팜핀
여자 단체 플뢰레해당 없음러시아
20–45
진출 실패


3. 16. 1. 남자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레안드로 마르케티남자 개인 플뢰레팔케토 (오스트리아)
15–13비엔안트 (독일)
1–15진출 실패


3. 16. 2. 여자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알레한드라 카르보네여자 개인 플뢰레왕후이펑(중화인민공화국)
4–15진출 실패야니나 이안누치여자 개인 플뢰레릴라흐 파리스키(이스라엘)
7–15진출 실패돌로레스 팜핀여자 개인 플뢰레바르바라 볼니카-셰브치크(폴란드)
8–15진출 실패알레한드라 카르보네,
야니나 이안누치,
돌로레스 팜핀여자 단체 플뢰레해당 없음러시아
20–45진출 실패


3. 17. [[1996년 하계 올림픽 필드하키|필드하키]]



감독은 미겔 맥코믹 이었다.

번호선수경기득점필드 골페널티 코너페널티 스트로크10px10px10px
1파블로 모레이라(GK)700
2호르헤 케레헤타500
3에드가르도 파일로스700
4디에고 치오도5001
5알레한드로 도허티701
6페르난도 모레시701
7로돌포 페레즈6121
8카를로스 레테기7171
9호르헤 롬비7512321
10가브리엘 미나데오601
11페르난도 페라라741331
12레안드로 바카로601
13로돌포 슈미트100
14산티아고 카푸로5252
15막시밀리아노 칼다스700
16파블로 롬비7121
팀 합계716451231



10px 그린 카드; 10px 옐로우 카드; 10px 레드 카드

아르헨티나는 예선 A조에서 2승 3패, 승점 4점으로 5위를 기록했다.

경기득점실점승점
54011458
53111037
5221835
52121185
52039134
50053230



7월 20일, 인도와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P. 롬비가 필드 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이집트의 아민 아이만, 네덜란드의 피터 폰 레스였다.

7월 22일, 미국과의 경기에서 5-2로 승리했다. P. 롬비가 필드 골 2골, 페라라가 페널티 코너 1골과 필드 골 1골, 카푸로가 필드 골 1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러시아의 유리 플라토노프, 호주의 돈 프라이어였다.

7월 24일,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P. 롬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심판은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이덴부르그와 피터 폰 레스였다.

7월 26일, 독일과의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했다. 심판은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이덴부르그, 호주의 돈 프라이어였다.

7월 28일,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2-6으로 패배했다. 페레즈가 필드 골, J. 롬비가 페널티 스트로크로 득점했다. 심판은 이집트의 아민 아이만, 영국의 크레이그 매든이었다.

9~12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는 7월 31일 말레이시아와 4-4 무승부 후, 페널티 슛아웃에서 3-0으로 승리했다. 레테기가 필드 골 1골과 페널티 스트로크 1골, 페라라와 J. 롬비가 각각 필드 골 1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일본의 키요시 사나, 벨기에의 패트릭 반 베네덴이었다.

9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는 8월 1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2로 이겼다. 페라라와 카푸로가 필드 골, J. 롬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심판은 프랑스의 기욤 랑글, 영국의 크레이그 매든이었다.

감독: 로돌포 멘도사

No.선수GPGSFGPCPS10px10px10px
1 (GK)400
27202
3701
4700
5701
6700
7700
8702
9607
107272
11 (C)72411
127141
13300
14501
15201
16600
팀 합계7728231



;예선 라운드

width=10px bgcolor="#ccffcc"|금메달 경쟁
width=10px bgcolor="#ffdab9"|동메달 경쟁



경기득점실점승점
761024413
742118910
732212118
732215158
72238116
721410115
72147215
70165171



7월 20일, 아르헨티나는 독일에 0-2로 패배했다.

7월 22일, 아르헨티나는 호주에 1-7로 대패했다.

7월 23일, 아르헨티나는 스페인을 1-0으로 꺾고 첫 승을 올렸다.

7월 25일, 아르헨티나는 미국을 2-1로 꺾고 2연승을 달렸다.

7월 27일, 아르헨티나는 네덜란드에 1-4로 패배했다.

7월 28일, 아르헨티나는 대한민국과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30일, 아르헨티나는 영국에 0-5로 완패했다.

3. 17. 1. 남자



감독은 미겔 맥코믹 이었다.

번호선수경기득점필드 골페널티 코너페널티 스트로크10px10px10px
1파블로 모레이라(GK)700
2호르헤 케레헤타500
3에드가르도 파일로스700
4디에고 치오도5001
5알레한드로 도허티701
6페르난도 모레시701
7로돌포 페레즈6121
8카를로스 레테기7171
9호르헤 롬비7512321
10가브리엘 미나데오601
11페르난도 페라라741331
12레안드로 바카로601
13로돌포 슈미트100
14산티아고 카푸로5252
15막시밀리아노 칼다스700
16파블로 롬비7121
팀 합계716451231



10px 그린 카드; 10px 옐로우 카드; 10px 레드 카드

아르헨티나는 예선 A조에서 2승 3패, 승점 4점으로 5위를 기록했다.

경기득점실점승점
54011458
53111037
5221835
52121185
52039134
50053230



7월 20일, 인도와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P. 롬비가 필드 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이집트의 아민 아이만, 네덜란드의 피터 폰 레스였다.

7월 22일, 미국과의 경기에서 5-2로 승리했다. P. 롬비가 필드 골 2골, 페라라가 페널티 코너 1골과 필드 골 1골, 카푸로가 필드 골 1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러시아의 유리 플라토노프, 호주의 돈 프라이어였다.

7월 24일,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P. 롬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심판은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이덴부르그와 피터 폰 레스였다.

7월 26일, 독일과의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했다. 심판은 네덜란드의 플로리스 이덴부르그, 호주의 돈 프라이어였다.

7월 28일,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2-6으로 패배했다. 페레즈가 필드 골, J. 롬비가 페널티 스트로크로 득점했다. 심판은 이집트의 아민 아이만, 영국의 크레이그 매든이었다.

9~12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는 7월 31일 말레이시아와 4-4 무승부 후, 페널티 슛아웃에서 3-0으로 승리했다. 레테기가 필드 골 1골과 페널티 스트로크 1골, 페라라와 J. 롬비가 각각 필드 골 1골을 기록했다. 심판은 일본의 키요시 사나, 벨기에의 패트릭 반 베네덴이었다.

9위 결정전에서 아르헨티나는 8월 1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2로 이겼다. 페라라와 카푸로가 필드 골, J. 롬비가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심판은 프랑스의 기욤 랑글, 영국의 크레이그 매든이었다.

3. 17. 2. 여자



감독: 로돌포 멘도사

No.선수GPGSFGPCPS10px10px10px
1 (GK)400
27202
3701
4700
5701
6700
7700
8702
9607
107272
11 (C)72411
127141
13300
14501
15201
16600
팀 합계7728231



;예선 라운드

width=10px bgcolor="#ccffcc"|금메달 경쟁
width=10px bgcolor="#ffdab9"|동메달 경쟁



경기득점실점승점
761024413
742118910
732212118
732215158
72238116
721410115
72147215
70165171



7월 20일, 아르헨티나는 독일에 0-2로 패배했다.

7월 22일, 아르헨티나는 호주에 1-7로 대패했다.

7월 23일, 아르헨티나는 스페인을 1-0으로 꺾고 첫 승을 올렸다.

7월 25일, 아르헨티나는 미국을 2-1로 꺾고 2연승을 달렸다.

7월 27일, 아르헨티나는 네덜란드에 1-4로 패배했다.

7월 28일, 아르헨티나는 대한민국과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30일, 아르헨티나는 영국에 0-5로 완패했다.

3. 18. [[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배구]]

{{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 세부 종목인 남자 비치발리볼 경기에 마르틴 콘데와 에스테반 마르티네스가 아르헨티나 대표로 출전했다. 이들은 2라운드에서 쿠바의 프란시스코 알바레스/Francisco Álvarezes – 후안 로셀/Juan Rosselles조에 11-15로 패하여 8강 진출에 실패, 최종 13위를 기록했다.

;선수 명단

코치는 알베르토 아르모아이다.

이름생년월일
마르코스 밀린코비치1971년 12월 22일
호르헤 엘구에타1969년 11월 21일
세바스티안 자비프1973년 1월 24일
레안드로 말리1976년 1월 29일
하비에르 웨버1971년 1월 6일
페르난도 보레로1968년 12월 15일
알레한드로 로마노()1974년 5월 4일
세바스티안 피르포1976년 10월 27일
파블로 페레이라()1974년 1월 18일
기예르모 마르티네스()1969년 1월 18일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1971년 12월 15일



;조별 예선

A조에 속했던 아르헨티나 남자 배구 대표팀은 브라질, 불가리아, 폴란드를 상대로 승리하였으나, 미국과 쿠바에게 패배하며 3승 2패를 기록했다.

;8강

8강에서 이탈리아를 만나 1-3으로 패배했다.

;5~8위 결정전

5~8위 결정전에서 브라질에게 1-3으로 패배했다.

;8위 결정전

8위 결정전에서 불가리아에게 2-3으로 패배하며 최종 8위를 기록했다.

3. 18. 1. 남자



;선수 명단

코치는 알베르토 아르모아이다.

이름생년월일
1971년 12월 22일
1969년 11월 21일
1973년 1월 24일
1976년 1월 29일
1971년 1월 6일
1968년 12월 15일
1974년 5월 4일
1976년 10월 27일
1974년 1월 18일
1969년 1월 18일
1971년 12월 15일



;조별 예선

A조에 속했던 아르헨티나 남자 배구 대표팀은 브라질, 불가리아, 폴란드를 상대로 승리하였으나, 미국과 쿠바에게 패배하며 3승 2패를 기록했다.

;8강

8강에서 이탈리아를 만나 1-3으로 패배했다.

;5~8위 결정전

5~8위 결정전에서 브라질에게 1-3으로 패배했다.

;8위 결정전

8위 결정전에서 불가리아에게 2-3으로 패배하며 최종 8위를 기록했다.

3. 18. 2. 비치발리볼

wikitext

1996년 하계 올림픽 배구 세부 종목인 남자 비치발리볼 경기에 마르틴 콘데와 에스테반 마르티네스가 아르헨티나 대표로 출전했다. 이들은 2라운드에서 쿠바의 조에 11-15로 패하여 8강 진출에 실패, 최종 13위를 기록했다.

3. 19. [[1996년 하계 올림픽 사격|사격]]

;남자

선수종목예선결선순위
점수순위점수합계
리카르도 루스티쿠치10m 공기 소총585=26진출 실패=26
50m 소총 3자세113945진출 실패45
앙헬 벨라르테10m 공기 소총577=38진출 실패=38
50m 소총 3자세114244진출 실패44
마르셀로 길스키트113=45진출 실패=45



;여자

선수종목예선결선순위
점수순위점수합계
아멜리아 포르넬10m 공기 소총392=13진출 실패=13
크리스티나 가요10m 공기 권총37429진출 실패29
25m 권총56533진출 실패33
로레나 과도10m 공기 권총371=32진출 실패=32
25m 권총56929진출 실패29


3. 19. 1. 남자

wikitable

선수종목예선결선순위
점수순위점수합계
리카르도 루스티쿠치10m 공기 소총585=26진출 실패=26
50m 소총 3자세113945진출 실패45
앙헬 벨라르테10m 공기 소총577=38진출 실패=38
50m 소총 3자세114244진출 실패44
마르셀로 길스키트113=45진출 실패=45


3. 19. 2. 여자

wikitext

선수종목예선결선순위
점수순위점수합계
아멜리아 포르넬10m 공기 소총392=13진출 실패=13
크리스티나 가요10m 공기 권총37429진출 실패29
25m 권총56533진출 실패33
로레나 과도10m 공기 권총371=32진출 실패=32
25m 권총56929진출 실패29


참조

[1] 웹사이트 Argentina at the 1996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12-02-04
[2] Olympics Argentina at the 1996 Summer Olympics https://www.olympe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